언론보도

[세계일보] "사람 살려" 비명에 자동 신고… AI와 만난 치안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24-10-29
  • 조회 : 204회

본문

출처: “사람 살려” 비명에 자동 신고… AI와 만난 치안 | 세계일보


경찰청, 국제치안산업대전 개최
비명인식 비상벨·X선 장비 선봬
아동학대 분석 지오지킴이 눈길
20여國 경찰 대표단과 수출 상담


“살려주세요!” 업체 관계자가 비명을 지르자, 소리가 나는 방향으로 폐쇄회로(CC)TV 카메라가 즉각 초점을 맞췄다. 동시에 경고음 소리가 요란하게 울렸다. 실제 상황일 경우 경찰과 보안업체에도 신고가 접수된다. 기존 기술이 단순히 일정 수준 이상의 큰소리를 감지하는 것과 달리, 인공지능(AI) 기술이 탑재된 엘마인즈의 ‘비명인식 비상벨’은 ‘사람 살려’, ‘도와주세요’ 등 사람의 음성을 정확히 인식해 반응하는 게 특징이다.

23일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경찰청과 인천시의 공동 주최로 열린 치안 장비 박람회인 ‘2024 국제치안산업대전’의 화두는 AI였다. 올해 6회째를 맞는 이번 박람회에서 상당수 참가 기업들은 AI를 활용한 치안 기술과 제품을 선보이며 경찰 관계자와 해외 바이어들의 눈길을 사로잡기 위해 애를 쓰고 있었다.
엠아이케이스캔의 ‘X선 검색장비’는 공항 보안검색대에서 주로 쓰이는 장비에 AI 기술을 결합했다. 과거에는 수하물을 X선으로 찍은 뒤 사람의 눈으로 내용물을 구분해야 했는데, AI 기술을 이용하면 물품과 보안물품이 자동으로 판독된다. 업체에 따르면 비행기 내 반입이 금지된 흉기와 카메라, 휴대전화, USB 등 26종을 자동 인식한다. 이 업체 관계자는 “고객 측의 요구에 따라 담배나 CD 등도 인지할 수 있도록 준비 중”이라고 설명했다.경찰 수사에 힘을 보탤 수 있는 AI 기술들도 눈에 띈다. 지오비전이 경찰청과 공동 개발 중인 ‘지오지킴이’가 대표적이다. 어린이집에서 아동학대 의심 사건이 일어나면 경찰은 일반적으로 시설 내 CCTV 영상 60일치를 일일이 살피며 구체적인 학대 정황을 찾아야 한다. 지오지킴이는 영상 속 등장인물의 표정을 ‘고통’, ‘슬픔’, ‘화남’, ‘행복’ 네 단계로 분류해 감정과 행동을 분석하고, 학대 상황을 신속하게 찾아낸다. 지난해부터 서울청과 경기남부청에서 실증이 진행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선보인 ‘에이드(AIID) 시스템’은 실종자 수색 속도를 비약적으로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치매 노인이나 아동 실종 신고가 접수되면, 인근 지역 CCTV 촬영 영상을 AI로 분석해 실종자와 비슷한 인상착의를 빠르게 검색하는 장비다. 검색에 소요되는 시간은 불과 수십초 수준으로, 실종자를 찾기 위한 ‘골든타임’을 확보하는 데 기여할 전망이다.

경찰청은 이번 박람회가 국내 치안산업체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마중물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올해는 독일, 싱가포르, 일본 등 20여개국 경찰 대표단이 참여해 국내 치안산업 기업들과 1대1 수출 상담회를 진행한다.

조지호 경찰청장은 “국내 기업들이 우수 기술과 제품을 개발하고 국내외 판로를 확보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인천=백준무 기자 jm100@segye.com

 

빠른   문의하기
CS CENTER
제품문의 02.6958.8905 대표번호 02.6956.4644

신속한 답변 드리겠습니다

월~금
AM 09:00 ~ PM 06:00
~
PM 12:00 ~ PM 01:00
주말·공휴일 휴일
빠른 문의하기

개인정보처리방침

닫기

이용약관

닫기

운영정책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 제 50조의 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된다.

* 제74조 (벌칙)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 제8조제4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표시ㆍ판매 또는 판매할 목적으로 진열한 자
  • 제44조의7제1항제1호의 규정을 위반하여 음란한 부호ㆍ문언ㆍ음향ㆍ화상 또는 영상을 배포ㆍ판매ㆍ임대하거나 공연히 전시한 자
  • 제44조의7제1항제3호의 규정을 위반하여 공포심이나 불안감을 유발하는 부호ㆍ문언ㆍ음향ㆍ화상 또는 영상을 반복적으로 상대방에게 도달하게 한 자
  • 제50조제6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기술적 조치를 한 자
  • 제50조의8의 규정을 위반하여 광고성 정보를 전송한 자 제50조의2의 규정을 위반하여 전자우편 주소를 수집ㆍ판매ㆍ유통 또는 정보전송에 이용한 자
  • 제50조의8의 규정을 위반하여 광고성 정보를 전송한 자
  • 제53조제4항을 위반하여 등록사항의 변경등록 또는 사업의 양도ㆍ양수 또는 합병ㆍ상속의 신고를 하지 아니한 자
닫기